42cursus/libft2 Library 연결하기 1. makefile과 libft.a의 활용 다시 project 1으로 돌아와서, 라이브러리 활용에 대해서 복습해보았다. library이 종류는 stationary(.a), shared(.so) 두가지가 있다. 정적라이브러리는 무거운대신 빠르고, 공유라이브러리는 가벼운대신 느리다. https://d-yong.tistory.com/5 2. "ar"은 archive의 약자로 정적라이브러리를 만드는데에 이용한다. rsc 는 옵션이고, s옵션은 ranlib와 같다고하는데 정확히 모르겠다. (-s : Regenerates the external symbol ta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and modifies the archive.) https://www.ibm.com/suppo.. 2020. 6. 30. Makefile 정복하기 1. Makefile 구성요소 Target(만들려는 녀석), Dependency(만들기위한 재료), Command(명령어) ,Macro(작성의 편리성) 해당설명은 이 블로그를 참고하자!![1] Makefile에서 반복되는 구조인 Rule block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2] : 위의 명칭은 GNU make 공식 매뉴얼에서 그대로 들고 온 것인데, 쉽게 설명해서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Target: 빌드 대상 이름. 통상 이 Rule에서 최종적으로 생성해내는 파일명을 써 줍니다. Dependencies: 빌드 대상이 의존하는 Target이나 파일 목록. 여기에 나열된 대상들을 먼저 만들고 빌드 대상을 생성합니다. Recipe: 빌드 대상을 생성하는 명령. 여러 줄로 작성할 수 있으며, 각 줄 시작에.. 2020. 6.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