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cursus17 get_next_line(mandatory) 1.BUFFER_SIZE는 내가 가지고 있는 양푼의 크기. 한줄에 얼마나 많은 글자가 들어가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동적할당으로 해결해야한다고 생각했다. 2.Static value를 전역변수처럼 사용하고 있음. 구현방법 1.(sujung, kylee) buffer는 지역변수로 두고, get_next_line함수에서 개행이전까지는 return하고, 개행이후에 string은 동적할당으로 저장해둔다. -> 일회용 주사기로(buffer)에 피를 빨고, 100ml 정량은 내보내고(*line = ft_strdup(sub_buffer)), 나머지양은 임시 저장해둔다(함수에서 계속 쓰기 때문에 static으로 두어야함) 구현방법 2.✅ buffer를 정적변수로 두고, buffer에 개행문자가 들어갈 경우, 그 만큼을.. 2020. 7. 2. 프로세스의 메모리, 파일 입출력함수 get_next_line을 구현하기 앞서서 문자출력에 관한 원리와 함수들을 이용해보고 장단점을 느껴본다. 1. 정적변수(wiki) "기억 장소가 콜 스택에서 할당 및 할당 해제되는, 수명이 더 짧은 자동 변수(지역 변수가 일반적으로 자동임)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즉, 기억 장소가 힙 메모리에 동적 할당되는 객체와 반의어이다. 정적 메모리 할당은 일반적으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앞서 컴파일 시간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을 일컬으며 이는 메모리가 런타임 중에 필요할 때 할당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이나 자동 메모리 할당과는 다르다."[1] 위 그림에서도 보듯이, 전역변수와 정적변수는 프로그램이 끝날 때 까지 메모리가 유지된다. 둘의 차이점은 정적변수는 함수내에서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역변수와 정적변.. 2020. 7. 1. Library 연결하기 1. makefile과 libft.a의 활용 다시 project 1으로 돌아와서, 라이브러리 활용에 대해서 복습해보았다. library이 종류는 stationary(.a), shared(.so) 두가지가 있다. 정적라이브러리는 무거운대신 빠르고, 공유라이브러리는 가벼운대신 느리다. https://d-yong.tistory.com/5 2. "ar"은 archive의 약자로 정적라이브러리를 만드는데에 이용한다. rsc 는 옵션이고, s옵션은 ranlib와 같다고하는데 정확히 모르겠다. (-s : Regenerates the external symbol ta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and modifies the archive.) https://www.ibm.com/suppo.. 2020. 6. 30. netwhat IP란? IP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1] 설명에 앞서 설명하면, network address가 같은 host끼리는 라우터를 거치지않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ip는 5가지의 대역으로 나뉘어진다. DNS(Domain Name System)에서 ip와 도메인을 전화번호부로 비유한다. 초기 통신기기 사이의 연결은 ip주소만으로 하였는데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를 외우고 사용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편의를 위해 Domain(ex: www.google.com)과 ip주소를 1:1 대응해주는 역활과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를 운영하게 된다. DNS 서버 더보기 https://1.1.1.1/ko-KR/dns/ -> 1.1.. 2020. 6. 29. 이전 1 2 3 4 5 다음